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클래식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공통점 여러분은 클래식 음악을 좋아하시나요? 클래식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이 있다고 합니다. 공통점을 말씀드리기 전 음악의 기원부터 들어가 볼게요 음악의 기원은 '노래'로 추측되고 실제로 노래를 못하는 사람은 4~5%라고 합니다.(영국 국민 테스트 결과) 그 4~5% 중에서도 노래 자체는 좋아하는 사람이 있고요. 그렇지만 악기를 잘 다루는 사람은 비율이 훨씬 낮아요. 또 악기만 연주하는 경우보다 노래와 함께 하는 경우가 많지요. 진화의 역사상 '노래'보다 '악기 연주'가 훨씬 새로운 사건이 됩니다. '클래식'과 '경음악'을 제외한 음악은 인간의 음성으로 하는 음악으로 분류한 테스트가 진행되었어요. 뿐만 아니라 '팝/록'과 '클래식'과 관련된 TV 방송을 10대들이 얼마나 보는지도 함께 진행합니다. 그 .. 더보기 동성애자가 되기 쉬운 사람 동성애자가 되기 쉬운 사람이 있다는 거 알고 계신가요? 태아 때부터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이 많이 노출될수록 동성애가 되기 쉬운 남성이 있습니다. 또한 위로 형이 많을수록 동성애자가 될 확률이 높다고 하네요. 인식과는 반대로 행동만 동성애적으로 보일 수도 있는데요. 여성을 전혀 만날 수 없는 환경의 형무소에서 다른 남성과 성행위를 하기도 하지요. 영화 '아메리칸 뷰티'를 보신 분 있으신지요? 주인공의 이웃에 사는 해병대 출신 남자는 다른 남성에게서 성적 흥분을 느낍니다. 이처럼 본인이 이성애자라고 하면서 동성애에 대해 혐오감을 나타내는 남성도 흥분을 느낄 수 있어요. 동성애자로의 의식과 행동은 진화에 있어서 새롭고 독특한 일입니다. 그렇기에 지능의 역설을 토대로 많은 데이터 분석을 했지요. Add Hea.. 더보기 저녁형 인간이 더 높은 것은 사람마다 아침형 인간이 있고 저녁형 인간이 있습니다. 지능의 역설을 통해 이 둘의 관계성을 과연 밝혀낼 수 있을까요? 사바나 시절부터 매우 느리게 진화되는 인간은 명백히 아침형 인간에 가까워요. 불을 발견하기 전까지 해가 뜰 때 일어나고 해가 질 때 잠이 들었지요. 저녁에 돌아다닐 수는 있었지만 밤눈 밝은 산짐승의 위협이 도사리고 있었답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밤에는 특수한 경우가 아닐 시 돌아다니지 않았어요. 그렇기 때문에 저녁형 인간은 새롭고 기묘한 일입니다. Add Health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저녁형 인간의 지능이 높은 것을 확인했어요. 하지만 밤부터 새벽시간까지 마트쇼핑을 온 아시아계 사람들과의 상관관계는 밝힐 수 없었답니다. 확실히 저녁형 인간의 창의성이 높다와 같은 이론들이 하나 둘 .. 더보기 머리 좋은 남자가 한 여자만 사귀는 성향 파헤치기 머리가 좋은 그러니까 지능이 높은 남자일수록 한 사람과 사귀게 된다고 합니다. 앞전에 지능이 높은 사람은 자연스러움을 배제하고 새로움을 선택한다고 했었지요. 우리 선조들은 일처다부제 시스템이었기에 오늘날 일부일처제 시스템은 전례가 없었어요. 한 마디로 일부다처제가 자연스럽고 일부일처제는 새로운 시스템인 겁니다. 지능이 높은 사람은 자연스러움을 배제하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지요. 그렇기 때문에 지능이 높은 남자는 새로운 시스템인 한 사람과의 만남을 선택하게 되는 거고요. 반대로 여자들은 일처다부제 시스템을 선호했던 이유가 소득의 분배 때문입니다. 지능이 높은 여자들은 남성을 통해 소득을 분배받지 않아도 되지요. 게다가 배우자를 고르는 결정권이 여자에게 있습니다. 남자는 유전적으로 뛰어나지 않으면 원하는 여자.. 더보기 신을 믿지 않는 사람인 무신론자의 지능이 높은 것은 무신론자가 유신론자보다 지능이 높다고 합니다. 우리 조상들은 원인을 알 수 없는 일이 생겼을 때 두 가지 추리를 했지요. 예를 들어 나뭇가지에 부딪혔을 때 무언가 떨어졌다면? 먼저 무언가(포식자)가 그것을 떨어뜨렸다를 선택합니다. 단순 자연현상이라면 제1종 과오(위험한 게 아닌 데 위험하다 느낌)로 피해망상을 일으키고요. 반대로 단순 자연현상이다를 선택합니다. 포식자가 있었다면 제2종 과오(위험한 데 위험하지 않다 느낌)로 죽음의 위기를 맞이하게 되지요. 아무리 생각해봐도 죽는 것보다 차라리 겁에 질리는 게 낫다 생각합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적으로 인간은 원인을 알 수 없는 문제에 두려움을 가지게 되었고요. 이와 비슷한 원리로 화재경보기가 울리지 않아 죽는 것보다 실수로 울리는 번거로움을 선택했어요. 인.. 더보기 머리가 좋은 사람이 현명하지 않은 이유는 우리는 흔히 머리가 좋은 사람을 똑똑하다고 표현합니다. 하지만 영리하다거나 똑똑하다는 것을 일반적인 상식으로 바꾸어 본다면? 머리가 좋은 사람은 결코 현명하지 않습니다. 새로운 문제 해결에 관해서는 누구보다 엄청난 결과를 가져올지 모르지요. 반대로 익숙한 일을 해결하는 데 있어서는 지나치게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지능이 낮은 사람은 척척 해내는 일에 실수를 하기도 하지요. 누구보다 새로운 관점과 가치관으로 세상을 보는 부분이 단점이 되었네요. 일반적인 길로 가는 걸 포기하고 새로운 길을 만들거나 둘러가는 모양새라고 할까요? 천려일실(千慮一失)이라고 하지요. 아무리 지혜롭다 하더라도 생각을 많이 하다보면 하나쯤 실수하기 마련이라는 뜻입니다. 진보주의자의 지능이 높은 부분에 대해 공유합니다... 더보기 IQ점수가 높은 사람이 가지고 있는 취약점 보통 IQ 테스트 점수가 높은 사람은 대부분의 일을 참 잘합니다. 그런데 그런 지능이 높은 사람들에게도 취약점이 있다고 하네요? 그리고 그런 취약점은 생존에 꽤나 영향을 끼치지요. 아 물론 그렇다고 개인의 생존이라기보다 인류의 생존에 가깝습니다. 바로 결혼과 육아, 가까운 이들과의 관계에서요. TV를 볼 때도 저건 다 만들어진 거라는 생각에 재미를 못 느낍니다. 일과 관련된 사람들과의 친분은 좋으나 정작 친족과 이웃과의 친분은 그렇지 않다네요. 일반적인 이들이 흥미를 느끼는 것과 다른 부분에 흥미를 느끼는 거죠. 일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피임도 매우 철저히 하니까 임신 가능성도 낮습니다. 이는 사바나-IQ 상호작용설에 적용시킨 결과이지요. 먼저 번 우리의 뇌는 사바나 시대에 맞춰 진화되었다고 했습니다... 더보기 IQ 테스트에 대한 오해와 지능확인의 가능 여부 지능에 대한 오해가 여럿 있습니다. 그중 가장 악명 높은 오해가 지능을 측정하는 IQ 테스트에는 특정 인종이나 민족 집단 또는 사회 계층에 대한 문화적 편견이 있다는 것인데요. 저자는 이를 혈압계와 체중계를 통해 예시를 들었어요. 혈압계나 체중계의 수치가 인종별로 차이가 있다고 해서 편견이 생기지는 않잖아요? 이와 관련해 흔히 하는 오해는 IQ란 일반 지능의 척도가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지능과 IQ를 별개라고 생각하는 거지요. IQ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집단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 데 그 점이 이상하다네요. 그와는 반대로 지능연구자들은 모두 지능이란 IQ 테스트의 측정 결과 그 자체라고 생각합니다. IQ 테스트에는 측정 오차가 항상 따라붙지요. 다시 혈압계와 체중계 예시로 돌아와서 설명할게요. 혈압계와..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