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청추천도서

전통 의학의 기원과 육아를 담당하는 성별 차이

728x90

전통 의학의 기원과 육아담당의 성별 차이
오래된 연장통_11일

 

전통 의학의 기원을 동물들의 모습으로 알 수 있다는 거 아시나요?

왜 여자들이 유독 육아를 담당하고 집중하게 되는지는요?

 

먼저 전통 의학의 기원부터 살펴볼게요.

동물들은 식물을 통해 자주 걸리는 질병예방과 아픈 부위를 치료합니다.

약초를 먹고 스스로 치유하는 행동을 새끼들이 보고 따라 하게 되지요.

인간과 달리 동물은 예방 차원으로 식물을 활용하는데요.

인류 진화 과정에서 동물성 음식 섭취로 병에 더 잘 걸리게 되었어요.

동물들이 질병 치료에 식물을 활용했듯 인간도 그러했다 추측합니다.

전통적인 인간 사회에서 동일한 발견을 했다는 점 또한 그러하지요.

전통 의학이 동물들의 자기 치유 행동에서 유래했음을 암시합니다.

 

이제는 두 챕터를 통해 육아담당의 성별 차이를 살펴볼게요.

일반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육아에 더 전념합니다.

반대로 남자는 배우자를 얻기 위한 경쟁에 더 열심히 뛰어들지요.

이러한 성차가 비단 인간 종에만 해당되지 않는데요.

전통적인 이론은 트리버스의 이론입니다.

암컷은 크고 귀한 난자의 투자시간이 아까워 육아에 전념한다는 거고요.

수컷은 싸고 흔한 정자라 더 빨리 짝짓기 시장에 뛰어든다는 거예요.

이 이론은 완벽해 보이지만 문제가 있습니다.

돌아온 싱글 수컷이 다른 배우자를 찾기 어렵다는 거지요.

또 다른 이론이 '피셔 조건'입니다.

어떤 자식이든 엄마와 아빠는 동등하게 모두 한 명씩 있다고 말이지요.

출생 시 어느 한 성이 많아질 때 부모로서는 드문 성을 더 많이 낳습니다.

이러한 밀고 당기기로 인해 출생시 성비는 1:1로 유지가 되는 거고요.

다만 피셔 조건은 출생 시 성비를 설명하는 데만 활용되었습니다.

부모의 자식 양육 행동을 설명하는 데는 활용되지 못했지요.

이에 관해 진화생물학자들이 설명하는 요인은 3가지예요.

첫째, 확실한 모성과 달리 부성의 불확실성입니다.

둘째, 능력 있는 수컷은 다른 암컷을 찾는 게 유리합니다.

셋째, 성체 성비의 1:1이 무너져 암컷이 더 많을 때입니다.

 

동물들로 본 전통 의학의 기원과 육아담당의 성차에 대해 아래 문장으로 공유합니다.


"동물들이 약재 식물을 활용하는 모습을 면밀히 연구함으로써 전통 의학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한층 더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스물일곱 번째 연장 - 전통 의학의 기원

"동물들이 약재 식물을 활용하는 모습을 면밀히 연구함으로써 전통 의학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한층 더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대다수 인간 사회의 전통 의학은 여러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쓰이는 약재 식물들을 상세히 분류, 기록하고 처방하는 것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동물들이 약재 식물을 쓰는 형태는 예방적 차원과 치료적 차원으로 나눌 수 있다.

 

아마도 먹을 것이 하나도 없는 곤궁한 시기에 배고프고 병든 영장류 하나가 어쩔 수 없이 낯설고 맛없는 식물들을 닥치는 대로 뜯어먹었으리라고 추측한다.

 

현존하는 영장류에서 관찰되는 자기 치유 행동과 마찬가지로, 초창기 인류의 조상들도 약재 식물을 활용해 질병을 다스렸을 것이다.

 

"왼손이 오른손보다 박수 소리를 더 많이 낼 수 없듯이, 수컷이 암컷보다 더 많이 번식할 수는 없다."

 

스물여덟 번째 연장 - 손뼉도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

"왼손이 오른손보다 박수 소리를 더 많이 낼 수 없듯이, 수컷이 암컷보다 더 많이 번식할 수는 없다."

 

 여성은 양육하고 남성은 경쟁한다는 이 친숙한 성차는 비단 우리 인간 종에만 국한하지 않는다.

 

암컷은 크고 귀한 난자를 만들므로, 성관계를 하기 전부터 수컷보다 자식에게 이미 더 많은 투자를 했다.

 

극심한 경쟁을 하는 수컷으로선, 이미 태어난 자식에게 신경 쓰기보다는 다른 새로운 암컷을 한 명이라도 더 유혹하려 노력해야 한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모든 자식에게는 오직 한 명의 엄마와 오직 한 명의 아빠만이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짝짓기 시장에 실제 나와 있는 개체들의 성비- 이를 '실질 성비 operational sex radio '라 한다.- 는 1:1로 유지된다.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처럼 '능력 있는' 남성들은 조강지처에게 얽매이기보다 새로운 짝을 찾아 나서는 편이 유리하다."

 

스물아홉 번째 연장 - 왜 암컷은 자식을 더 돌볼까?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처럼 '능력 있는' 남성들은 조강지처에게 얽매이기보다 새로운 짝을 찾아 나서는 편이 유리하다."

 

피셔 조건만 놓고 보면, 남성과 여성이 평등하게 자녀 양육에 참여하는 이상적인(?) 사회가 우리 눈앞에 펼쳐져야 한다.

 

모성 maternity 은 확실하지만 부성 paternity 은 언제나 불확실하므로 아빠는 엄마보다 상대적으로 자식을 덜 돌보게끔 진화할 것이다.

 

결국 소수의 '능력 있는' 남성들 때문에 일반적으로 아빠들은 엄마들보다 자식을 덜 돌보게끔 진화하였다.

 

지금껏 우리는 성체 성비가 1:1이라고 가정해 왔지만, 사실은 몇 가지 이유로 해서 성체 성비는 1:1을 벗어날 수 있다.

 

오래된 연장통_310p

728x90